큐라클(대표이사 유재현)은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분야 전시회인 ‘바이오 유럽 2023’에서 망막 혈관질환 치료제인 ‘CU06’과 ‘MT-103’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하고 이를 사업적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 빠른 후속 행보를 전개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당뇨병성 황반부종과 습성 황반변성에 대한 경구용 치료제로 개발 중인 CU06의 경우 환자에 대한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하는 PoC(개념증명) 성격의 미국 임상2a상에서 마지막 대상자 최종방문(LSO)이 최근 완료됐다. 데이터 락업(Data Lock-up) 절차와 최종 분석을 거쳐 2024년 초 톱라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망막으로의 약물 전달에 대한 기술적 어려움으로 현재 망막 혈관질환 치료제로는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고 안구 내 주사제만 출시된 상황이다. 임상 2a상 완료와 함께 CU06의 약물 효과가 입증될 경우 세계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의 성공적 출시에 한층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중국, 일본 등 주요 아시아 국가에 대한 판권 계약 역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당뇨병성 황반부종과 습성 황반변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이중항체 치료제로 큐라클과 항체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맵틱스가 공동 개발 중인 MT-103은 ‘바이오 유럽’ 시작 전부터 참가 기업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행사에서 글로벌 제약사들과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개발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으며, 향후 연구 개발과 사업화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큐라클과 맵틱스 관계자는 “망막 혈관질환의 치료방식이 VEGF만을 차단하는 단일 항체에서 VEGF를 포함한 여러 주요 타깃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는 이중 항체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MT-103의 전략적인 포지셔닝이 가능하다는 점에 여러 참가사들이 공감했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 이들은 “MT-103의 주요 기전인 Tie2 활성화 항체와 이미 효과가 입증된 anti-VEGF의 결합이 기존 치료제와 비교해 경쟁력이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큐라클과 맵틱스는 2024년 상반기에 개최될 주요 전시 일정에 맞춰 MT103의 경쟁력 있는 효력시험 데이터를 확보하고 사업적 성과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유럽에서 복귀한 날부터 망막혈관질환 동물모델 시험 및 항체 물성의 최적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가트렌드 '비만치료제' 역사상 최단 1000억 달러 시장 전망" |
2 | 올해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13건…지난해 간신히 넘을 듯 |
3 | 세계 최다 ADC 파이프라인 확보 '레고켐바이오' 글로벌 왕좌 노린다 |
4 | 지아이이노베이션 “기술수출보단 상업화 중요…바이오텍 성과 15~20년 걸리기도” |
5 | 전 세계 당뇨 환자 8억 예상…치료제 개발 위한 임상만 72개 |
6 | 바로팜, 피코몰, 블루엠텍..신흥 강자 연속 등장에 긴장'만' 하는 의약품유통업계 |
7 | “워라밸 받고 더” 제약업계, 이제는 ‘폭룡적’ 복지가 대세 |
8 | SK바이오사이언스, 3Q 해외매출 1852억원…전년동기比 203.1%↑ |
9 | [인터뷰] 하만 한국머크 GM, "한국 시장 APAC NO.1이 목표" |
10 | 오상헬스케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큐라클(대표이사 유재현)은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분야 전시회인 ‘바이오 유럽 2023’에서 망막 혈관질환 치료제인 ‘CU06’과 ‘MT-103’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하고 이를 사업적 성과로 연결하기 위해 빠른 후속 행보를 전개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당뇨병성 황반부종과 습성 황반변성에 대한 경구용 치료제로 개발 중인 CU06의 경우 환자에 대한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하는 PoC(개념증명) 성격의 미국 임상2a상에서 마지막 대상자 최종방문(LSO)이 최근 완료됐다. 데이터 락업(Data Lock-up) 절차와 최종 분석을 거쳐 2024년 초 톱라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망막으로의 약물 전달에 대한 기술적 어려움으로 현재 망막 혈관질환 치료제로는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고 안구 내 주사제만 출시된 상황이다. 임상 2a상 완료와 함께 CU06의 약물 효과가 입증될 경우 세계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의 성공적 출시에 한층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중국, 일본 등 주요 아시아 국가에 대한 판권 계약 역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당뇨병성 황반부종과 습성 황반변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이중항체 치료제로 큐라클과 항체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맵틱스가 공동 개발 중인 MT-103은 ‘바이오 유럽’ 시작 전부터 참가 기업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행사에서 글로벌 제약사들과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개발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으며, 향후 연구 개발과 사업화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큐라클과 맵틱스 관계자는 “망막 혈관질환의 치료방식이 VEGF만을 차단하는 단일 항체에서 VEGF를 포함한 여러 주요 타깃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는 이중 항체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MT-103의 전략적인 포지셔닝이 가능하다는 점에 여러 참가사들이 공감했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 이들은 “MT-103의 주요 기전인 Tie2 활성화 항체와 이미 효과가 입증된 anti-VEGF의 결합이 기존 치료제와 비교해 경쟁력이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큐라클과 맵틱스는 2024년 상반기에 개최될 주요 전시 일정에 맞춰 MT103의 경쟁력 있는 효력시험 데이터를 확보하고 사업적 성과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유럽에서 복귀한 날부터 망막혈관질환 동물모델 시험 및 항체 물성의 최적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