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아스템켐온은 지난 15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2023 환태평양 아시아 지역 루게릭병 심포지엄 (PACTALS, Pan-Asia Consortium for Treatment and Research in ALS)에서 ‘뉴로나타-알주’의 시판 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생존 기간 분석과 임상 3상 진행 과정을 발표했다고 18일 전했다.
코아스템켐온은 줄기세포 치료제를 전문으로 개발하고 비임상 CRO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코아스템켐온에 따르면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뉴로나타-알주의 시판 후 조사 데이터의 치료군과 대조군은 값은 39.48개월로 나타났다. 이는 대조군 (20.68개월) 대비 약 19개월 이상 차이로 유의미한 결과다(p-Value < 0.001).
코아스템켐온은 임상 3상의 마지막 환자 투여를 끝으로 유의미한 데이터확보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시판허가 신청 일정에 맞춰 내년 8월 오송 첨단 바이오의약품 센터 완공 이후 FDA로부터 현장 실사를 받아 아시아 지역 및 북미 지역 생산라인을 확보할 계획이다.
코아스템켐온 관계자는 “3일간의 발표를 진행하며 세계 각국의 주요 신경 전문의학 박사 및 글로벌 제약회사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향후 지속적인 교류를 약속했다"면서 "팬데믹 이후 감소하였던 해외 환자들의 국내유입 회복세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학회에는 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국 루게릭병 질환의 주요 연구 관계자를 포함, 약 250명 이상 참여해 역대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됐다. 학회에선 뉴로나타-알주, 렐리브리오 및 토퍼센 등을 포함해 치료제에 관한 정보가 활발히 공유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 |
2 | 의약품 성공 징검다리 '대행기관' 성장 '쑥'…사업 영역도 확장 |
3 | [인터뷰] "mRNA, 다양한 질환을 하나의 백신으로 예방할 계획" |
4 | 상반기 화장품 기업 평균 순이익 115억, 전년비 23%↑ |
5 | 복지위 국감, 11일 복지부‧질병청 시작…25일 종합감사 |
6 | 獨 머크, 인공지능(AI) 기반 신약발굴 전략제휴 |
7 | 릴리, ‘마운자로’ 위조품 공급업체들에 소송제기 |
8 | 11월 건보료 소득 정산제도 도입 첫 적용 "편법 회피 막는다" |
9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마약 예방·근절 캠페인 ‘NO EXIT’ 참여 |
10 | 큐로셀, 우리금융지주 임종룡 회장 본사 방문…기업 금융 혁신 논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코아스템켐온은 지난 15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2023 환태평양 아시아 지역 루게릭병 심포지엄 (PACTALS, Pan-Asia Consortium for Treatment and Research in ALS)에서 ‘뉴로나타-알주’의 시판 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생존 기간 분석과 임상 3상 진행 과정을 발표했다고 18일 전했다.
코아스템켐온은 줄기세포 치료제를 전문으로 개발하고 비임상 CRO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코아스템켐온에 따르면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뉴로나타-알주의 시판 후 조사 데이터의 치료군과 대조군은 값은 39.48개월로 나타났다. 이는 대조군 (20.68개월) 대비 약 19개월 이상 차이로 유의미한 결과다(p-Value < 0.001).
코아스템켐온은 임상 3상의 마지막 환자 투여를 끝으로 유의미한 데이터확보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시판허가 신청 일정에 맞춰 내년 8월 오송 첨단 바이오의약품 센터 완공 이후 FDA로부터 현장 실사를 받아 아시아 지역 및 북미 지역 생산라인을 확보할 계획이다.
코아스템켐온 관계자는 “3일간의 발표를 진행하며 세계 각국의 주요 신경 전문의학 박사 및 글로벌 제약회사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향후 지속적인 교류를 약속했다"면서 "팬데믹 이후 감소하였던 해외 환자들의 국내유입 회복세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학회에는 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국 루게릭병 질환의 주요 연구 관계자를 포함, 약 250명 이상 참여해 역대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됐다. 학회에선 뉴로나타-알주, 렐리브리오 및 토퍼센 등을 포함해 치료제에 관한 정보가 활발히 공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