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 초격차 '바이오헬스·AI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시동
"협업과 혁신으로 AI신약개발 앞당긴다"
입력 2023.09.18 13:44 수정 2023.09.18 14:0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안전성평가연구소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 신약개발지원센터가 18일 개최한 ‘AI신약개발 기술 교류회’에서 초격차 기업들이 발표하고 있다.©안전성평가연구소

제약·바이오 분야에도 AI 기술 도입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신약개발 전문벤처기업과 AI전문기업들이 국내 AI 신약 개발 활성화와 이를 통한 국산 신약 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마련된다.

안전성평가연구소(소장 정은주)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AI)신약개발지원센터(센터장 김우연)는 초격차 바이오헬스 참여기업과 AI신약개발 전문기업이 참여하는 ‘AI신약개발 기술 교류회’를 18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4층 강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그동안 대기업과 전문연구기관 등이 주로 활용해오던 것과는 달리 신약개발 및 AI기술 분야 전문 벤처기업들의 기술 교류와 활용을 위한 논의의 장이라는 점에서 시선을 끈다.

초격차 신산업분야 바이오헬스기업은 정부가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등 신산업 분야 기술기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5년간 민관 합동으로 2조원 이상을 지원하는 정책 프로젝트에 선정돼 R&D, 사업화, 정책자금, 수출 지원 등의 집중 지원을 받고 있는, 말하자면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을 대표하는 유망창업기업을 의미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개발협의회는 AI신약개발기술 발전과 협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 29개 대표 AI신약개발 전문기업이 참여해 △민관협력 AI 신약개발 연구 프로젝트 추진 △정부 정책담당자 초청 정례 간담회 개최 등 국내 AI 신약 개발 오픈이노베이션을 주도해 왔다.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성장산업으로, 전 세계 주요 국가의 경쟁적 R&D   투자 확대에도 신약개발은 그러나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개발 기간과 약   2~3조 원이 넘는 비용에도 실패 확률이 9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AI 기술은 이러한 신약 개발 과정에 드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단축해주는 특장점에 힘입어 최근 국내외 제약사들의 AI 신약 개발 경쟁을 더욱 치열해 지는 추세로,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시장 규모가 매년 40%씩 성장해 2024년 40억 달러(약 4조7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의 경우 AI 신약 개발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신약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제약사 등 바이오벤처기업과 AI 기술을 연구하는 AI 전문기업 간 협업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돼 왔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업계 내 AI기술 수요를 반영한 것으로 △신약개발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 소개와 △ 전문기업들의 AI후보물질 발굴 사례 △바이오벤처기업과 AI기술
전문기업간 협업 방안 제안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또 행사 참여기업 간 네트워킹과 구체 협업 방안 모색을 위한 파트너링 행사와 더불어 울산 바이오데이터팜 규제자유특구에서 진행하는 바이오데이팜 사업 소개도 진행된다.

AI신약개발협의회 김이랑 회장은 “AI 기술 전문인력과 인프라 등이 갖춰진 거대 제약사 등에 비해 바이오 벤처기업들의 경우 AI 기술 접목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행사가 국내 신약개발 산업계 내 AI 기술 오픈이노베이션의 실질적인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안전성평가연구소, 초격차 '바이오헬스·AI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시동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안전성평가연구소, 초격차 '바이오헬스·AI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시동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