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4060여성 10명 중 8명은 관절 통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HLB제약(대표 박재형·전복환)의 한국인관절연구센터가 국내 40~69세의 여성 700명을 대상으로 올해 1분기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3.2%가 관절 통증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주요 관절 통증 부위는 무릎이 60.2%로 가장 많았으며, 손가락과 손목이 각각 54.3%, 49.7%로 그 뒤를 이었다. 발목 통증도 32.3%를 기록했다.
60대 이상은 71.3%가 경험한 무릎통증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 40대는 손목 통증(49.7%)을, 50대는 손가락 통증(57.9%)을 1위로 꼽아 연령에 따라 주요 관절 통증 부위도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손가락 통증은 월 평균 12회 정도로 가장 자주 나타나는 증상으로 집계됐다.
4060 여성은 관절 통증 발현 시 병원을 찾기 보다는 파스를 붙이거나(62.9%) 운동(61.1%), 건강기능식품 취식(55.5%), 식습관 조절(34.3%) 등으로 관리한다는 응답이 많아 관절 관리에서도 평상 시 스스로 건강을 챙기려는 ‘셀프 메디케이션(Self-Medication)’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병원에서 주사를 맞거나 시술을 한다는 응답은 32.1%다.
비교적 관절 통증을 간헐적으로 겪는 40대와 50대는 병원보다는 운동으로 관리한다는 응답이 각각 49.3% 49.1%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60대는 건강기능식품 취식으로 관리한다는 응답이 48.4%로 가장 많았다.
이는 관절질환이 원천적으로 완치가 어려운 난치성 질병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는 게 연구센터 설명이다.
이 밖에 관절 건강기능식품은 통증이 심한 사람보다 통증이 간혹 나타나서 취식한다는 비중이 62.1%로 가장 많았다. 통증은 없지만 예방 목적으로 취식 한다는 비중은 전체의 23.6%로 특히 40대 젊은 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HLB제약 한국인관절연구센터 홍준기 센터장은 “우리나라 국민들은 한국인 특유의 바닥에 앉는 좌식 문화 영향으로 관절이 약해지기 쉬운데,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 가사노동 등으로 더욱 관절 건강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관절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미리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2 | 2023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 |
3 | 여전히 대세 'CAR-T'㊦ 큐로셀이 끌고 유틸렉스가 밀고 |
4 | 나이벡 "제제기술 발달…펩타이드 신약 성공 가능성 증가" |
5 | 노보 노디스크, 2대 1 비율 주식분할 단행 결정 |
6 | 메디톡스, 2Q 매출 518억원…국내서 80% |
7 | 또 하나의 '서울 바이오 클러스터' 탄생…문정동 바이오헬스 기업 총출동 |
8 | 여전히 대세 'CAR-T'㊤ 글로벌 임상 900건 육박…고형암 도전 확대 |
9 | 백내장 보험금 지급 분쟁..."입원보험금 지급하라" 환자 최종 '승소' |
10 | "창동상계 신경제지구, 전국 클러스터 콘트롤타워 가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우리나라 4060여성 10명 중 8명은 관절 통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HLB제약(대표 박재형·전복환)의 한국인관절연구센터가 국내 40~69세의 여성 700명을 대상으로 올해 1분기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3.2%가 관절 통증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주요 관절 통증 부위는 무릎이 60.2%로 가장 많았으며, 손가락과 손목이 각각 54.3%, 49.7%로 그 뒤를 이었다. 발목 통증도 32.3%를 기록했다.
60대 이상은 71.3%가 경험한 무릎통증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 40대는 손목 통증(49.7%)을, 50대는 손가락 통증(57.9%)을 1위로 꼽아 연령에 따라 주요 관절 통증 부위도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손가락 통증은 월 평균 12회 정도로 가장 자주 나타나는 증상으로 집계됐다.
4060 여성은 관절 통증 발현 시 병원을 찾기 보다는 파스를 붙이거나(62.9%) 운동(61.1%), 건강기능식품 취식(55.5%), 식습관 조절(34.3%) 등으로 관리한다는 응답이 많아 관절 관리에서도 평상 시 스스로 건강을 챙기려는 ‘셀프 메디케이션(Self-Medication)’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병원에서 주사를 맞거나 시술을 한다는 응답은 32.1%다.
비교적 관절 통증을 간헐적으로 겪는 40대와 50대는 병원보다는 운동으로 관리한다는 응답이 각각 49.3% 49.1%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60대는 건강기능식품 취식으로 관리한다는 응답이 48.4%로 가장 많았다.
이는 관절질환이 원천적으로 완치가 어려운 난치성 질병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는 게 연구센터 설명이다.
이 밖에 관절 건강기능식품은 통증이 심한 사람보다 통증이 간혹 나타나서 취식한다는 비중이 62.1%로 가장 많았다. 통증은 없지만 예방 목적으로 취식 한다는 비중은 전체의 23.6%로 특히 40대 젊은 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HLB제약 한국인관절연구센터 홍준기 센터장은 “우리나라 국민들은 한국인 특유의 바닥에 앉는 좌식 문화 영향으로 관절이 약해지기 쉬운데,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 가사노동 등으로 더욱 관절 건강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관절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미리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