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 파멥신(대표이사 유진산)이 지난 3일 호주법인 설립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마치고 호주증권투자감독원(ASIC)으로부터 법인등록증(Certificate of Registration of a Company)을 교부받았다고 밝혔다.
파멥신 호주법인명은 PharmAbcine Australia Pty. Ltd.로 유진산 대표이사가 겸임을 할 예정이다. 해당 법인에서는 호주 내 모든 R&D 및 임상개발 관련 비용을 집행하고,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R&D 세제혜택(R&D Tax Incentive)을 받게 된다. 세제혜택 규모는 연간 지출된 적격 R&D 비용의 43.5%까지 현금으로 환급받게 된다.
파멥신에 따르면 현재 타니비루맵의 아바스틴 불응성 재발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호주 및 미국 2상 임상시험을 내년 초에 개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또 타니비루맵 및 키투르다 병용투여 재발성 뇌종양 및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호주 1b/2상 임상시험도 연내 개시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쳤다.
유진산 대표이사는 “타니비루맵의 호주 2a 임상시험은 결과뿐 아니라 임상시험의 질적인 면에서 매우 인상적이었기 때문에 호주에서의 추가 임상시험에 대한 고민은 크지 않았다”며 “호주에서 진행하는 R&D 비용에 대한 호주 당국의 세제혜택은 향후 호주에서 공격적인 임상시험을 계획하는 우리에게 현지법인 설립에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우리는 호주 현지법인이 R&D 비용의 세제혜택뿐만 아니라 호주 내 우수인력들과 함께 하는 실질적인 글로벌 R&D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타니비루맵은 올해 초 교모세포종 치료제로써 미국 FDA 희귀질환치료제 지정을 받은 바 있으며, 지난 10월에는 미국 FDA로부터 아바스틴 불응성 재발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2상 임상시험에 대한 진행 허가를 득한 바 있다. 그리고 11월에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발성 교모세포종에 대한 개발단계 희귀질환치료제로써 승인 받았다.
한편, 파멥신은 지난 2월 MSD와 타니비루맵 및 키투르다 병용투여로 재발성 뇌종양 및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시험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엔지켐생명과학, 상반기 매출 144억…전년비 31.4%↑ |
2 | SK바이오팜, 상반기 매출 946억…전년비 42.3%↓ |
3 | HK이노엔, 상반기 매출 4,321억…전년비 16.2%↑ |
4 | 2022년 FDA 승인 받은 신약 적지만 '잠재력' 높다 |
5 | "글로벌 제약바이오 빙하기? 'M&A 불씨' 살아있어" |
6 | 개별인정형 건기식 ‘헤모힘 당귀등 혼합추출물’ 톱 |
7 | 코로나19로 사망한 소아‧청소년 44명…9세 이하 66% |
8 | 진원생명과학 "美 VGXI 'CDMO 제조소' 10월 7일 준공식 개최" |
9 | 삼천당제약, 상반기 매출 890억…전년비 9.9%↑ |
10 | 수혈 의존 중증 빈혈 유전자 치료제 FDA 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항체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 파멥신(대표이사 유진산)이 지난 3일 호주법인 설립에 필요한 모든 절차를 마치고 호주증권투자감독원(ASIC)으로부터 법인등록증(Certificate of Registration of a Company)을 교부받았다고 밝혔다.
파멥신 호주법인명은 PharmAbcine Australia Pty. Ltd.로 유진산 대표이사가 겸임을 할 예정이다. 해당 법인에서는 호주 내 모든 R&D 및 임상개발 관련 비용을 집행하고,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R&D 세제혜택(R&D Tax Incentive)을 받게 된다. 세제혜택 규모는 연간 지출된 적격 R&D 비용의 43.5%까지 현금으로 환급받게 된다.
파멥신에 따르면 현재 타니비루맵의 아바스틴 불응성 재발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호주 및 미국 2상 임상시험을 내년 초에 개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또 타니비루맵 및 키투르다 병용투여 재발성 뇌종양 및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호주 1b/2상 임상시험도 연내 개시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쳤다.
유진산 대표이사는 “타니비루맵의 호주 2a 임상시험은 결과뿐 아니라 임상시험의 질적인 면에서 매우 인상적이었기 때문에 호주에서의 추가 임상시험에 대한 고민은 크지 않았다”며 “호주에서 진행하는 R&D 비용에 대한 호주 당국의 세제혜택은 향후 호주에서 공격적인 임상시험을 계획하는 우리에게 현지법인 설립에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우리는 호주 현지법인이 R&D 비용의 세제혜택뿐만 아니라 호주 내 우수인력들과 함께 하는 실질적인 글로벌 R&D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타니비루맵은 올해 초 교모세포종 치료제로써 미국 FDA 희귀질환치료제 지정을 받은 바 있으며, 지난 10월에는 미국 FDA로부터 아바스틴 불응성 재발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2상 임상시험에 대한 진행 허가를 득한 바 있다. 그리고 11월에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재발성 교모세포종에 대한 개발단계 희귀질환치료제로써 승인 받았다.
한편, 파멥신은 지난 2월 MSD와 타니비루맵 및 키투르다 병용투여로 재발성 뇌종양 및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시험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