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혁신 신약개발 바이오벤처사가 개발한 신약의 해외 수출이 본격화된다.
28일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퇴행성관절염 소염진통제 신약 '아셀렉스'의 해외 수출을 위한 본격 협의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회사에 따르면 대상파트너는 터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제약사로 터키,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을 대상으로 크리스탈지노믹스와 아셀렉스 해외수출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터키 및 MENA지역을 대상으로 아셀렉스를 상품화할 계획이고 본 MOU를 통해 세부 계약조건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2012년 IMS 헬스데이터 기준으로 터키 제약시장 규모는 125억불로 전세계 시장의 1.3%를 차지했고 2023년까지 연간 9.5%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MENA지역의 경우 전세계 시장의 1.5% ~ 2.0%를 차지하고 있기에 이 지역들의 전체 의약시장규모는 약 30조원에 이른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 국내 바이오벤처 최초로 글로벌신약을 개발하는 기염을 토했으나, 해외 기술수출이 진행되지 않아 국내용 신약이 아니냐는 주위의 평가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예정된 해외수출이 진행된다면 올 봄부터 제약바이오에 불고 있는 해외수출의 기대감이 계속 실현되는 것이어서 크게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 "올 하반기부터 아셀렉스의 국내 판매로 큰 폭의 매출 성장과 수익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셀렉스'는 식약처에서 국내신약 22호로 승인받은 골관절염 치료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로,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현재 분자표적항암제(코드명: CG200745), 슈퍼박테리아항생제(코드명: CG400549) 등도 임상시험 중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확장과 변화, 경계를 넘어" 제20회 경기약사학술대회 개막 |
2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3 | 아미코젠,차세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비임상 착수..글로벌 SC 제형 주도가속 |
4 | 자누비아 약가 차액 두고 종근당·MSD 공방…피해는 유통업계 몫? |
5 |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커피와 빵, ‘당독소’ 주범입니다” |
6 | 수술 돌발상황도 AI가 스스로 대처…"의사 없는 로봇 수술 시대 임박" |
7 | 프롬바이오,지방유래 줄기세포 기반 탈모치료제 비임상서 발모 효과 입증 |
8 | 하반기 ‘바이오베터’ 후보물질 개발 착수…산‧학‧연 컨소시엄 9월까지 선정 |
9 | 미국 환자 1,300만 PTSD 치료제 FDA ‘혁신 치료제’ 지정 |
10 | “뷰티썸 인디아, 인도에서 K-뷰티의 실질적인 수출 성과 만든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국내 혁신 신약개발 바이오벤처사가 개발한 신약의 해외 수출이 본격화된다.
28일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퇴행성관절염 소염진통제 신약 '아셀렉스'의 해외 수출을 위한 본격 협의에 돌입한다고 전했다.
회사에 따르면 대상파트너는 터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제약사로 터키,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을 대상으로 크리스탈지노믹스와 아셀렉스 해외수출 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터키 및 MENA지역을 대상으로 아셀렉스를 상품화할 계획이고 본 MOU를 통해 세부 계약조건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2012년 IMS 헬스데이터 기준으로 터키 제약시장 규모는 125억불로 전세계 시장의 1.3%를 차지했고 2023년까지 연간 9.5%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MENA지역의 경우 전세계 시장의 1.5% ~ 2.0%를 차지하고 있기에 이 지역들의 전체 의약시장규모는 약 30조원에 이른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 국내 바이오벤처 최초로 글로벌신약을 개발하는 기염을 토했으나, 해외 기술수출이 진행되지 않아 국내용 신약이 아니냐는 주위의 평가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예정된 해외수출이 진행된다면 올 봄부터 제약바이오에 불고 있는 해외수출의 기대감이 계속 실현되는 것이어서 크게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 "올 하반기부터 아셀렉스의 국내 판매로 큰 폭의 매출 성장과 수익개선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셀렉스'는 식약처에서 국내신약 22호로 승인받은 골관절염 치료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로,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현재 분자표적항암제(코드명: CG200745), 슈퍼박테리아항생제(코드명: CG400549) 등도 임상시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