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마커/항체치료제 개발기업인 노바셀테크놀로지는 부산대 김재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신규 줄기세포 분화조절인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 는데 성공했으며, 이와 관련 연구 성과는 줄기세포 최고 권위지인 ‘Stem Cells’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줄기세포 분화조절인자는 iPS cell(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유도만능줄기세포) 형성에 필수적인 전사조절인자 Oct4에 결합하는 Reptin으로서 Oct4의 분화조절 기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Reptin의 기전을 최초로 규명해 낸 연구 결과다.
iPS cell이란 분화가 끝난 체세포에 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를 주입하여 분화 이전의 세포 단계로 되돌린, 마치 배아줄기세포처럼 만능성을 유도해 낸 세포다.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팀에서 최초로 마우스 실험에서 성공했고, 이듬해 성인의 피부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여 iPS cell을 만드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존 거든 교수 와 함께 줄기세포 분야 최초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노바셀테크놀로지의 프로테오믹스 기술을 통해 새롭게 Oct4의 결합단백질로 발굴된 Reptin은 Oct4에 결합하여 Oct4의 전사유도 기능을 조절하고 iPS cell 형성을 직접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iRNA를 이용한 Reptin의 발현 억제시 iPS cell의 형성이 억제되고, 과발현시에는 형성이 촉진되는 것도 확인했다. 이를 통해 Reptin이 Oct4의 결합단백질로 Oct4의 전사유도 기능을 직접 조절하는 새로운 iPS cell의 조절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분화조절 및 치료제 개발 가능성도 함께 제시됐다.
노바셀테크놀로지 이태훈 대표이사는 “iPS cell은 미래 질병치료에 핵심적인 아이템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iPS cell을 조절하여 다양한 질병 치료제 로 개발하는 작업들이 탄력을 받게 됐다.“고 전했다.
노바셀테크놀로지는 지난 4월에도 세계적인 학술지 ‘Proteomics’지에 뇌종양 유발 새로운 원인물질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한편 노 바셀테크놀로지는 프로테오믹스 및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관련 원천기술을 확 보하고 있으며, 현재 상장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바이오텍 브랜드평판, 알테오젠·진원생명과학·네이처셀 순 |
2 | SK바이오사이언스 “세계에 SK 백신 성공 DNA 심겠다” |
3 | [지금 이연제약은?] '케미컬·바이오' 두마리 토끼 사냥 |
4 | 알츠하이머 '근본 치료제' 시장 지각변동 감지 |
5 | 복사 붙여넣기 '오가노이드'…②최강자는 누가 될까? |
6 | 美 코로나19 비상사태 종료 임박 '코비드 산업' 격변 예고 |
7 | 건기식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KT&G·LG생활건강·청담글로벌 순 |
8 | 2월부터 독감‧코로나19 ‘콤보키트’ 검사 급여기준 신설 |
9 | "버티자, 버티는 거야, 버티면 다 되는 거야" 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 당부 |
10 | [기획 인터뷰] “‘제약바이오혁신위 추진, K-바이오 백신펀드 투자’ 주시하겠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바이오마커/항체치료제 개발기업인 노바셀테크놀로지는 부산대 김재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신규 줄기세포 분화조절인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 는데 성공했으며, 이와 관련 연구 성과는 줄기세포 최고 권위지인 ‘Stem Cells’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한 줄기세포 분화조절인자는 iPS cell(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유도만능줄기세포) 형성에 필수적인 전사조절인자 Oct4에 결합하는 Reptin으로서 Oct4의 분화조절 기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Reptin의 기전을 최초로 규명해 낸 연구 결과다.
iPS cell이란 분화가 끝난 체세포에 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를 주입하여 분화 이전의 세포 단계로 되돌린, 마치 배아줄기세포처럼 만능성을 유도해 낸 세포다.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팀에서 최초로 마우스 실험에서 성공했고, 이듬해 성인의 피부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여 iPS cell을 만드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존 거든 교수 와 함께 줄기세포 분야 최초로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노바셀테크놀로지의 프로테오믹스 기술을 통해 새롭게 Oct4의 결합단백질로 발굴된 Reptin은 Oct4에 결합하여 Oct4의 전사유도 기능을 조절하고 iPS cell 형성을 직접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iRNA를 이용한 Reptin의 발현 억제시 iPS cell의 형성이 억제되고, 과발현시에는 형성이 촉진되는 것도 확인했다. 이를 통해 Reptin이 Oct4의 결합단백질로 Oct4의 전사유도 기능을 직접 조절하는 새로운 iPS cell의 조절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분화조절 및 치료제 개발 가능성도 함께 제시됐다.
노바셀테크놀로지 이태훈 대표이사는 “iPS cell은 미래 질병치료에 핵심적인 아이템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iPS cell을 조절하여 다양한 질병 치료제 로 개발하는 작업들이 탄력을 받게 됐다.“고 전했다.
노바셀테크놀로지는 지난 4월에도 세계적인 학술지 ‘Proteomics’지에 뇌종양 유발 새로운 원인물질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한편 노 바셀테크놀로지는 프로테오믹스 및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관련 원천기술을 확 보하고 있으며, 현재 상장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