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류성호교수 연구실, 한국화학연구원 및 ㈜노바셀테크놀로지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인 “NCN612”, “NCN613”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모델에서 효능 검증과 작용기전 규명 등의 연구결과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논문 발표를 위한 마무리작업을 진행 중이다.
포스텍/노바셀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최근 당뇨병에 대한 타깃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에너지 항상성 센서 단백질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에 대한 천연물소재 활성화물질을 발굴했다.
이후 효능 최적화와 지적재산권의 강화를 위해 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해 해당 천연물소재와 구조가 유사하고 활성이 최적화된 저분자화합물을 개발, 기존 당뇨병 치료물질로 사용되는 메트포민(metformin)에 비해 1000배 낮은 농도에서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저분자물질 (NCN612/NCN613) 개발에 성공했다.
공동연구팀은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은 기존 인슐린 매개의 메커니즘과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혈당 흡수증가를 진행시키는 것이 확인돼, 단독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인슐린 치료와 병행해 추가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노바셀테크놀로지 이태훈 대표는 “이 물질들은 최근 국내외 바이오제약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AMPK에 대한 활성화물질로서 의미가 크며, 메트포민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당뇨병치료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했다.
노바셀테크놀로지는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기술과 프로테오믹스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올해 주식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포스텍 류성호교수 연구실, 한국화학연구원 및 ㈜노바셀테크놀로지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인 “NCN612”, “NCN613”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모델에서 효능 검증과 작용기전 규명 등의 연구결과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논문 발표를 위한 마무리작업을 진행 중이다.
포스텍/노바셀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최근 당뇨병에 대한 타깃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에너지 항상성 센서 단백질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에 대한 천연물소재 활성화물질을 발굴했다.
이후 효능 최적화와 지적재산권의 강화를 위해 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해 해당 천연물소재와 구조가 유사하고 활성이 최적화된 저분자화합물을 개발, 기존 당뇨병 치료물질로 사용되는 메트포민(metformin)에 비해 1000배 낮은 농도에서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저분자물질 (NCN612/NCN613) 개발에 성공했다.
공동연구팀은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은 기존 인슐린 매개의 메커니즘과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혈당 흡수증가를 진행시키는 것이 확인돼, 단독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인슐린 치료와 병행해 추가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노바셀테크놀로지 이태훈 대표는 “이 물질들은 최근 국내외 바이오제약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AMPK에 대한 활성화물질로서 의미가 크며, 메트포민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당뇨병치료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했다.
노바셀테크놀로지는 펩타이드 라이브러리 기술과 프로테오믹스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올해 주식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약업신문 수준이 이정도 밖에 안되나요
in vitro 효능을 보이는 거야 신약회사마다 널려있지요
장기독성연구에서 안전성을 보이고 메포민대비 %우월 또는 병용시~효과 라는 내용이
약업신문이 실어야 할 내용입니다
기자님
그래도 약업신문은 이 업계에서 그래도 권위가 있는 신문아닌가요
신약개발하는 회사면 대수롭지 않은 흔한 일로 여겨지는 일을 기사로 내지 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