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재생의료 연구 성과 공유…전문가 한 자리
27~28일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시행 4주년 성과교류회 개최
입력 2024.08.27 11:3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재생의료진흥재단 임상연구지원사업단(단장 박소라)은 27~28일 이틀간 웨스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성과교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첨단재생의료란 사람의 신체 구조 또는 기능을 재생, 회복 또는 형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등으로, 희귀‧난치 질환 등에 새로운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어 일찍이 미국 등 선도국에서는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첨단재생 분야 맞춤형으로 임상연구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

그간 적합으로 심의받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과제는 총 45건이며, 이 중 23건의 연구과제에 대해서는 임상연구비가 지원되고 있다.

성과교류회에서는 승인된 임상연구 중 19개 과제에 대해 연구책임자가 그동안의 연구수행 경험과 성과에 대해 발표하게 된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진흥과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의 노고를 격려하고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여하는 자리도 함께 마련됐다.

유공자 가운데 한양대학교 윤채옥 교수는 항암바이러스와 나노기술 기반 유전자치료제 연구를 통해 항암신약 발전과 기술실용화에 기여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임광일 교수는 시스템생물학 및 합성생물학 기법 적용을 통한 유전자 및 세포치료제 설계·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수행을 통해 첨단재생의료 기술 진흥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복지부 정순길 재생의료정책과장은 “연구 결과가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로 이어져 환자들이 보다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례가 늘어나길 기대한다” 며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가 더욱 활성화돼 국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재생의료진흥재단 박소라 임상연구지원사업단장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를 통해 기존의 치료법이 없는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서는 새로운 의료기술 또는 첨단바이오의약품으로 발전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첨단재생의료 연구 성과 공유…전문가 한 자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첨단재생의료 연구 성과 공유…전문가 한 자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