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바이오헬스 품목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9% 증가하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7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면서 바이오헬스 수출액이 1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수출 품목은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등 의약품 부문과, 초음파영상진단기기, 치과용임플란트, 콘택트렌즈 등 의료기기로 구성된다. 지난달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바이오헬스, IT 전 품목, 일반기계‧차부품, 석유제품‧석유화학, 가전, 섬유 등 11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이 중 바이오헬스와 섬유, 가전 등은 한 달 만에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됐다.
올해 바이오헬스의 수출 증감률은 △1월 +3% △2월 +9% △3월 +10% △4월 +21% △5월 +19% △6월 –6% △7월 +29%로 확인됐다. 특히 이 달엔 글로벌 기업 간 가격경쟁 심화에도 불구, 바이오시밀러의 미국시장 판매 확대 및 위탁생산(CMO) 수주 확대, 주요 기업 생산공장 가동률 증가 등에 따라 수출이 플러스 전환돼 역대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역대 1위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 7월 13억3000만 달러다.
지난해 7월엔 전년동기대비 17.6% 감소한 9억6200만 달러를 기록한 바 있으며, 올해 5월에는 18.7% 증가한 12억9300만 달러, 6월에는 6.0% 감소한 12억1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의약품 수출액은 지난해 7월 7.3% 감소한 5억6000만 달러에서 올해 7월 41.7% 증가한 7억9000만 달러를 기록해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EU에서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확대되면서 전년동기대비 129.5%가 증가한 3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일본엔선 7.7% 증가한 6000만 달러로 확인됐다. 다만 아세안 지역에서는 30.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상반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은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품목에 속하는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6.2% 증가한 44억6000만 달러를, 의료기기 수출액은 0.8% 감소한 29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도 18.1% 오른 48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용 제품류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수출이 확대돼 의약품과 화장품 수출은 전년동기보다 10% 이상 증가한 데 따른 결과다. 반대로 의료기기 수출은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2 | 케어젠, 먹는 GLP-1 시대 연다...‘코글루타이드’ 중동·북중미 시장 공략 |
3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4 | 피코엔텍 ‘MF001’,알코올성 지방간-숙취 유발 물질 해독 우수 효능 입증 |
5 | 탈모인 8%만 약국行…탈모 시장, 떠오르는 약국가 ‘블루오션’ |
6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7 | 프로젠 ‘비만치료제',주사제 대비 동등 이상 생체이용률-체중감소 효과 확인 |
8 | 에이비엘바이오 "오버행 우려 말라…전환우선주 전량 보통주 전환" |
9 | 랩지노믹스,2호 ‘LDT GPP’ 미국 FDA급 허가 난이도 등록 완료 |
10 | 8월 허가 기대 섬유근육통 치료제 유력저널 게재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달 바이오헬스 품목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9% 증가하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7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면서 바이오헬스 수출액이 1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수출 품목은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등 의약품 부문과, 초음파영상진단기기, 치과용임플란트, 콘택트렌즈 등 의료기기로 구성된다. 지난달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바이오헬스, IT 전 품목, 일반기계‧차부품, 석유제품‧석유화학, 가전, 섬유 등 11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이 중 바이오헬스와 섬유, 가전 등은 한 달 만에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됐다.
올해 바이오헬스의 수출 증감률은 △1월 +3% △2월 +9% △3월 +10% △4월 +21% △5월 +19% △6월 –6% △7월 +29%로 확인됐다. 특히 이 달엔 글로벌 기업 간 가격경쟁 심화에도 불구, 바이오시밀러의 미국시장 판매 확대 및 위탁생산(CMO) 수주 확대, 주요 기업 생산공장 가동률 증가 등에 따라 수출이 플러스 전환돼 역대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역대 1위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 7월 13억3000만 달러다.
지난해 7월엔 전년동기대비 17.6% 감소한 9억6200만 달러를 기록한 바 있으며, 올해 5월에는 18.7% 증가한 12억9300만 달러, 6월에는 6.0% 감소한 12억1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의약품 수출액은 지난해 7월 7.3% 감소한 5억6000만 달러에서 올해 7월 41.7% 증가한 7억9000만 달러를 기록해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EU에서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확대되면서 전년동기대비 129.5%가 증가한 3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일본엔선 7.7% 증가한 6000만 달러로 확인됐다. 다만 아세안 지역에서는 30.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상반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은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품목에 속하는 의약품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6.2% 증가한 44억6000만 달러를, 의료기기 수출액은 0.8% 감소한 29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도 18.1% 오른 48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용 제품류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수출이 확대돼 의약품과 화장품 수출은 전년동기보다 10% 이상 증가한 데 따른 결과다. 반대로 의료기기 수출은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소폭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