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은 어깨부터 고관절까지 ‘등 통증’을 느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6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등 통증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512만3996명이었던 환자 수는 2021년 546만4577명으로 4년 만에 34만581명(6.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1.6%이다. 이 데이터는 한의분류, 약국 등을 제외한 것이다.
2021년 등통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1조1883억원으로 2017년(8148억원) 대비 45.8%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9.9%로 진료 인원 연평균 증가율(1.6%)의 6.2배에 달했다.
2021년 등 통증 진료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111만5710명(20.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04만1405명(19.1%), 40대가 84만1352명(15.4%)으로 뒤를 이었다.
인구 10만명 당 등 통증 환자의 진료 인원을 보면 70대가 10만명 당 2만1197명, 80세 이상이 2만18명, 60대 1만5975명, 50대 1만2099명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을수록 등 통증 질환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인당 진료비는 2017년 15만9000원에서 2021년 21만7000원으로 36.8% 증가했다. 80세 이상이 30만8000원으로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진료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등 통증하면 디스크질환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외에도 척추뼈, 관절, 인대, 근육, 근막, 신경 등과 같은 여러 근골격계 구조물 역시 등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또 심장, 신장, 췌장, 여성 생식기 등의 내장 장기들이 등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장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대부분 등 통증은 신체의 퇴행성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외상뿐 아니라 유연성 부족, 근력 저하, 잘못된 자세, 반복적인 부하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아 나이가 들수록 등 통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