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가 정책 만들고 가이드라인을 내리는 역할이라면, 지방청은 현장에서 민원인들의 어려움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본부에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강석연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함께한 자리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지방청 역할의 중요성과 중요도를 강조하며, 그렇기에 현장에서 일 하고 있는 지방청 직원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사소함 속에서의 효율성까지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 그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바로 본부와의 소통과 적극적인 건의다.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서울청)은 본부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시를 받아 의약품, 식품, 의료기기 및 의약외품 등에 대한 현장감시를 진행하고 서울, 강원 지방의 민원을 맡아 해결하고 있다. 그렇기에 서울청 직원들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과 민원인들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듣고 있는 입장이다.
35년 넘게 본부에서 일하고 지방청은 처음인 강 청장은 “본부가 뇌의 역할을 하고 있다면, 지방청은 몸의 손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민원인들과의 접촉이 많다는 이야기”라며 “지방청에 와서 민원인들의 어려움을 본부에 있을 때보다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다 보니 지방청 역할의 중요성과 중요도를 다시금 알게 됐다”며 “지방청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식약처 전체의 이미지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됐다”고 덧붙였다.
현장의 중요성은 이미 잘 알고 있었지만, 직접 지방청에 와서 피부로 느끼니, 현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됐다고 강 청장은 강조했다.
강 청장은 직원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직원들이 일하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쏟지 않도록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식약처 본부도 지방청에서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올해부터 본부에서 주관하는 정책회의에 모든 지방청장들이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으로 직접 오송에 모일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다. 1월부터 한 달에 한 번 직접 참석하는 형식으로 바뀐 것. 여기에 각 지방청장들은 본부 정책회의 전에 따로 지방청장들만의 회의를 거쳐 각 지방청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등을 정리해 본부 주관 정책회의에서 본부에 전달하고 있다.
강 청장에 따르면, 이렇게 본부에 전해진 애로사항 및 건의 사항들에 대한 피드백은 오유경 처장의 지시로 반드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청장은 “각 지방청에서 본부에 전달된 애로사항과 피드백에 대한 본부의 피드백은 반드시 이뤄지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개선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큰 정책뿐만 아니라 민원인들이 겪고 있는 어려운 점, 직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 점, 반복적으로 이뤄져서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점 등 세세한 부분들까지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들어 지방청과 본부 사이의 관계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바로 소통이 강화됐다는 것”이라며 “오유경 처장은 지방청을 지금보다 활성화시키고, 애로사항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강하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본부에서도 지방청 자체에서도 애로사항과 직원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는 있다. 이미 오랜 시간동안 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인력’ 문제다.
서울청은 서울을 넘어 강원도 전체를 담당하고 있는 만큼, 관리하고 있는 영역이 넓다. 의약품 관련 회사는 전국에 4만 2000여개가 있는데, 이들 중 42%에 달하는 1만 8000개의 업체가 서울청 관할이다. 그 밖에 의료기기의 경우 전체 9100 곳 중 45%에 해당하는 4100 곳, 식품 및 축산물의 경우 전국 126만여 곳 중 30%에 해당하는 36만 곳, 숙입식품의 경우 전국 8만 5000여 곳 중 40%에 해당하는 3만 4000여 곳이 서울청 관할에 포함된다.
강 청장은 “큰 업체들만 보면 서울청이 담당하고 있는 업체의 수는 적어 보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어마어마한 숫자를 관리하고 있다”며 “현재 서울청에는 정규직이 150명, 공무직이 50명, 총 약 200여명이 이 모든 업체들을 관리하고 있는데, 인력이 터무니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에 직원들이 감당해야 하는 업무적 스트레스 강도가 높은 편”이라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직원들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력을 보충해야 하는데, 해결이 결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인력 문제에 대한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단순 지방청들만이 겪고 있는 문제가 아닌 본부 자체에서도 고민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력 부족이기 때문인다.
강 청장은 “전문 인력에 대한 보충 및 대우 개선도 모든 지방청들과 본부에서도 해결해야 할 어려움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약처는 모든 방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본부가 정책 만들고 가이드라인을 내리는 역할이라면, 지방청은 현장에서 민원인들의 어려움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본부에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강석연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함께한 자리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지방청 역할의 중요성과 중요도를 강조하며, 그렇기에 현장에서 일 하고 있는 지방청 직원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사소함 속에서의 효율성까지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 그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바로 본부와의 소통과 적극적인 건의다.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서울청)은 본부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시를 받아 의약품, 식품, 의료기기 및 의약외품 등에 대한 현장감시를 진행하고 서울, 강원 지방의 민원을 맡아 해결하고 있다. 그렇기에 서울청 직원들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과 민원인들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듣고 있는 입장이다.
35년 넘게 본부에서 일하고 지방청은 처음인 강 청장은 “본부가 뇌의 역할을 하고 있다면, 지방청은 몸의 손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민원인들과의 접촉이 많다는 이야기”라며 “지방청에 와서 민원인들의 어려움을 본부에 있을 때보다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다 보니 지방청 역할의 중요성과 중요도를 다시금 알게 됐다”며 “지방청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식약처 전체의 이미지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도 깨닫게 됐다”고 덧붙였다.
현장의 중요성은 이미 잘 알고 있었지만, 직접 지방청에 와서 피부로 느끼니, 현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됐다고 강 청장은 강조했다.
강 청장은 직원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직원들이 일하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쏟지 않도록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식약처 본부도 지방청에서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올해부터 본부에서 주관하는 정책회의에 모든 지방청장들이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으로 직접 오송에 모일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다. 1월부터 한 달에 한 번 직접 참석하는 형식으로 바뀐 것. 여기에 각 지방청장들은 본부 정책회의 전에 따로 지방청장들만의 회의를 거쳐 각 지방청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등을 정리해 본부 주관 정책회의에서 본부에 전달하고 있다.
강 청장에 따르면, 이렇게 본부에 전해진 애로사항 및 건의 사항들에 대한 피드백은 오유경 처장의 지시로 반드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청장은 “각 지방청에서 본부에 전달된 애로사항과 피드백에 대한 본부의 피드백은 반드시 이뤄지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개선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큰 정책뿐만 아니라 민원인들이 겪고 있는 어려운 점, 직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 점, 반복적으로 이뤄져서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점 등 세세한 부분들까지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들어 지방청과 본부 사이의 관계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바로 소통이 강화됐다는 것”이라며 “오유경 처장은 지방청을 지금보다 활성화시키고, 애로사항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강하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본부에서도 지방청 자체에서도 애로사항과 직원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는 있다. 이미 오랜 시간동안 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인력’ 문제다.
서울청은 서울을 넘어 강원도 전체를 담당하고 있는 만큼, 관리하고 있는 영역이 넓다. 의약품 관련 회사는 전국에 4만 2000여개가 있는데, 이들 중 42%에 달하는 1만 8000개의 업체가 서울청 관할이다. 그 밖에 의료기기의 경우 전체 9100 곳 중 45%에 해당하는 4100 곳, 식품 및 축산물의 경우 전국 126만여 곳 중 30%에 해당하는 36만 곳, 숙입식품의 경우 전국 8만 5000여 곳 중 40%에 해당하는 3만 4000여 곳이 서울청 관할에 포함된다.
강 청장은 “큰 업체들만 보면 서울청이 담당하고 있는 업체의 수는 적어 보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어마어마한 숫자를 관리하고 있다”며 “현재 서울청에는 정규직이 150명, 공무직이 50명, 총 약 200여명이 이 모든 업체들을 관리하고 있는데, 인력이 터무니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에 직원들이 감당해야 하는 업무적 스트레스 강도가 높은 편”이라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직원들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력을 보충해야 하는데, 해결이 결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인력 문제에 대한 해결은 어려운 상황이다. 단순 지방청들만이 겪고 있는 문제가 아닌 본부 자체에서도 고민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력 부족이기 때문인다.
강 청장은 “전문 인력에 대한 보충 및 대우 개선도 모든 지방청들과 본부에서도 해결해야 할 어려움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약처는 모든 방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