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지원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바이오니아,유바이오로직스,에스디바이오센서)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한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기술 개발 연구 중에는 한국 강점인 ICT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추적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가평가 앱 개발 연구’가 있다. KT와 모바일닥터가 함께 연구하는 이 연구 프로젝트에 한국의 어떤 강점 기술이 담겼고, 앞으로 이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고도화돼 국제보건 문제에 활용될지KT AI/DX융합사업부문 AI/BigData 서비스 담당 변형균 상무를 만나 들어봤다.(약업신문은 17개 과제를 인터뷰를 통해 시리즈로 싣는다,무순)
△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디지털 추적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가평가앱을개발한다고들었다.어떤 연구인가.
-스마트폰앱을 통해 사용자의 과거 동선 데이터와 정부에서 공공에 공개하는 코로나19확진자 동선데이터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개인의 코로나19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다.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코로나19 감염 위험도지표를 기반으로 감염이 예상되는 고위험군을 보건기관으로 유도해 추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차 대유행 및 집단감염 발생시 코로나19 감염위험도 지표를 기반으로 감염예상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 의료진, 진단키트 등과 같은 한정된 자원 을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 는기반을 마련 할수 있다. KT가 이 연구 총괄연구책임을 맡아 연구를주도하면서 코로나19 감염위험도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있고,모바일 닥터가 스마트폰앱페이지,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디자인 개발을 맡고 있다.
△ 한국은 ICT에 강점이있고 KT는 국내 대표적인 정보통신기업이지만, 쉬운 연구는 아닐 것 같다. 이 기술을 개발하는데,가 장난제는무엇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가장 난제는 정확한 사용자 동선을 추출하는 것이다. 기지국 기반 통신데이터는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한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가 넓기에 사용자의 정확한 동선을 추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스마트폰 앱을 기반으로사용자 동의로 얻을 수 있는 GPS 데이터를 활용해 기지국기반 통신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과거 동선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려 한다. 이렇게 생성된 정교화된 동선데이터는 정확한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디지털 추적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감염위험 자가평가앱 개발연구에 KT의 어떤강점 기술이 녹아 있나.
-이번 연구와 관련해 KT는 빅데이터기술을 활용해 현재 서비스중인 감염병 확산방지플랫폼(GEPP: 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기술을 고도화 할 방침인데,GEPP는 올해 9월 2일 글로벌 ICT 연구기관 ‘인포마텔레콤앤미디어(Informa Telecom&Media)가 주관하는 세계적 권위 시상식 ‘5G World Award 2020’에서 통신서비스 혁신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할 만큼 우수한 기술로 입증된 플랫폼이다.
KT는 이 플랫폼기술로 현재 감염병 발생국가를 방문한 여행객에게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해 감염병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보건당국의 리스크 유입 모니터링을 돕고,국내 유입된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트레이싱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국내 확진자동선을 추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KT는 GEPP를 더욱 고도화하는 것에 더해 코로나19 감염위험 모니터링및 디지털 트레이싱 기능 강점을 활용해 감염위험도를 나타내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또 스마트폰앱 방식을 활용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며 코로나19 확진자와 자신의 과거동선을 기반으로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획득함으로써 코로나19 감염에 얼마나 위험한 지 서비스 수혜자가 직관적인 답을 얻을 수 있게 할 것이다.
△ 라이트펀드 지원을 받은 이 기술이 개발되면 어떤 파급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나
-코로나19 와 같은 감염병은 이제 지역적, 국지적으로 끝나지 않고 이동 및 교통 수단의 발달로 전 세계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이러한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방역체계가 필요하다. ICT기반 기술력을 활용한다면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감염병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을 할 수 있다. 또 통신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것은 통신 기술이 발전된 우리나라를 비롯해 개발도상국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이 기술이 개발되면 AI, 빅데이터, ICT 기술들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인 감염병의 예방, 치료, 관리를 돕고 국제 보건의료에 기여할 수 있고, 국가 방역 측면에서도 새로운 디지털 헬스 기반을 통해 한층 더 고도화된 방역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 기존 의료와 보건 부처 중심의 감염병 대응 역량이 ICT업계와 ICT 관계 부처로 확대되면서 국가 방역 체계도 ICT기술을 기반으로 팬데믹 대응 거버넌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고, 디지털 헬스 성장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들의 성공에 대한 기대 가능성도 높일 수 있으며 향후 디지털 헬스 관련 분야에 대한 투자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국내 산업계를 활성화하는 측면에서도 긍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3Q 누적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대웅제약∙종근당 |
2 | 이엔셀, 국제학회서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 'EN001' 1a상 결과 발표 |
3 | 화장품 기업 74개사 3Q 누적 순이익 평균 264억…전년比 54.4%↑ |
4 | 써모피셔 아닐 카네 기술총괄 "바이오 경구제형 변경 열풍…'CDMO' 협력이 상업 성공 핵심" |
5 | “환자안전사고 1위 ‘투약 오류’…‘에피네프린‧뮤코미스트’ 사고로 시스템 개선” |
6 | 대한약사회, 수급 불안정 '이모튼캡슐' 약국 균등공급 실시 |
7 | 뷰티 브랜드·제조사·유통기업 , '수출의 탑' 대거 수상 |
8 | 노보, 품질 확보 위한 4억 달러 투자 감행…"이번엔 QC다" |
9 | 리가켐바이오 파트너사 시스톤, 'LCB71' 업데이트 임상1a상 포스터 발표 |
10 | 티디에스팜, 전문의약품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의 강점과 혁신을 활용해 국제보건을 위협하는 소외감염병 대응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국제보건 연구지원플랫폼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RIGHT Fund)가 올해 새롭게 17개 연구에 대한 지원을 시작했다.
라이트펀드는 보건복지부와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한국 생명과학기업 8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바이오니아,유바이오로직스,에스디바이오센서) 공동 출자로 형성된 기금을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 연구에 투입하는 독특한 성격의 국제보건연구기금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최대한의 효과를 이끌어내려는 민관협력 국제보건연구기금 성공 전략에 따라 라이트펀드는 저개발국 감염병 문제 해결에 한국의 강점과 혁신이 활용된 우수한 기술 개발 연구를 발굴해 지원한다.
올해 라이트펀드가 지원을 시작한 17개 감염병기술 개발 연구 중에는 한국 강점인 ICT기술이 융합된 ‘디지털 추적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가평가 앱 개발 연구’가 있다. KT와 모바일닥터가 함께 연구하는 이 연구 프로젝트에 한국의 어떤 강점 기술이 담겼고, 앞으로 이 기술이 어떤 방식으로 고도화돼 국제보건 문제에 활용될지KT AI/DX융합사업부문 AI/BigData 서비스 담당 변형균 상무를 만나 들어봤다.(약업신문은 17개 과제를 인터뷰를 통해 시리즈로 싣는다,무순)
△ 라이트펀드 지원으로 디지털 추적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감염 위험 자가평가앱을개발한다고들었다.어떤 연구인가.
-스마트폰앱을 통해 사용자의 과거 동선 데이터와 정부에서 공공에 공개하는 코로나19확진자 동선데이터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개인의 코로나19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다.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코로나19 감염 위험도지표를 기반으로 감염이 예상되는 고위험군을 보건기관으로 유도해 추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차 대유행 및 집단감염 발생시 코로나19 감염위험도 지표를 기반으로 감염예상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선별해 의료진, 진단키트 등과 같은 한정된 자원 을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 는기반을 마련 할수 있다. KT가 이 연구 총괄연구책임을 맡아 연구를주도하면서 코로나19 감염위험도 측정기술을 개발하고 있고,모바일 닥터가 스마트폰앱페이지,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 디자인 개발을 맡고 있다.
△ 한국은 ICT에 강점이있고 KT는 국내 대표적인 정보통신기업이지만, 쉬운 연구는 아닐 것 같다. 이 기술을 개발하는데,가 장난제는무엇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가장 난제는 정확한 사용자 동선을 추출하는 것이다. 기지국 기반 통신데이터는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한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가 넓기에 사용자의 정확한 동선을 추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스마트폰 앱을 기반으로사용자 동의로 얻을 수 있는 GPS 데이터를 활용해 기지국기반 통신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과거 동선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려 한다. 이렇게 생성된 정교화된 동선데이터는 정확한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디지털 추적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감염위험 자가평가앱 개발연구에 KT의 어떤강점 기술이 녹아 있나.
-이번 연구와 관련해 KT는 빅데이터기술을 활용해 현재 서비스중인 감염병 확산방지플랫폼(GEPP: Global Epidemic Prevention Platform)기술을 고도화 할 방침인데,GEPP는 올해 9월 2일 글로벌 ICT 연구기관 ‘인포마텔레콤앤미디어(Informa Telecom&Media)가 주관하는 세계적 권위 시상식 ‘5G World Award 2020’에서 통신서비스 혁신분야 최우수상을 수상할 만큼 우수한 기술로 입증된 플랫폼이다.
KT는 이 플랫폼기술로 현재 감염병 발생국가를 방문한 여행객에게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해 감염병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보건당국의 리스크 유입 모니터링을 돕고,국내 유입된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트레이싱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국내 확진자동선을 추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KT는 GEPP를 더욱 고도화하는 것에 더해 코로나19 감염위험 모니터링및 디지털 트레이싱 기능 강점을 활용해 감염위험도를 나타내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또 스마트폰앱 방식을 활용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며 코로나19 확진자와 자신의 과거동선을 기반으로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획득함으로써 코로나19 감염에 얼마나 위험한 지 서비스 수혜자가 직관적인 답을 얻을 수 있게 할 것이다.
△ 라이트펀드 지원을 받은 이 기술이 개발되면 어떤 파급력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나
-코로나19 와 같은 감염병은 이제 지역적, 국지적으로 끝나지 않고 이동 및 교통 수단의 발달로 전 세계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이러한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방역체계가 필요하다. ICT기반 기술력을 활용한다면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감염병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을 할 수 있다. 또 통신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감염위험도를 측정하는 것은 통신 기술이 발전된 우리나라를 비롯해 개발도상국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이 기술이 개발되면 AI, 빅데이터, ICT 기술들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인 감염병의 예방, 치료, 관리를 돕고 국제 보건의료에 기여할 수 있고, 국가 방역 측면에서도 새로운 디지털 헬스 기반을 통해 한층 더 고도화된 방역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 기존 의료와 보건 부처 중심의 감염병 대응 역량이 ICT업계와 ICT 관계 부처로 확대되면서 국가 방역 체계도 ICT기술을 기반으로 팬데믹 대응 거버넌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고, 디지털 헬스 성장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들의 성공에 대한 기대 가능성도 높일 수 있으며 향후 디지털 헬스 관련 분야에 대한 투자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국내 산업계를 활성화하는 측면에서도 긍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