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축산 전문기업 유라이크코리아(대표 김희진)는 세계 최초로 닭(鷄) 전용 헬스케어 기술인 라이브케어(LiveCare) 서비스 개발에 성공, 동남아시아, 남미 시장을 시작으로 ICT 기술을 접목한 글로벌 양계산업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 김희진 대표는 “이번에 개발에 성공한 닭 전용디바이스는 농가뿐 아니라 국가 단위의 조류 AI 전염병 확산으로 인한 집단 폐사를 줄이고, 건강한 번식 관리를 통해 농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관련업계 전문가들은 “전세계가 동물복지, 지속가능한 사육 방식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양계 전용 라이브케어 서비스를 통해 사전에 조류 인플루엔자(AI)를 예방하는 등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케어가 가능하다면 국내외 육계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희진 대표를 통해 닭전용 헬스케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닭 전용 헬스케어는 어떤 제품인지?
농가뿐 아니라 국가 단위의 조류 AI 전염병 확산으로 인한 집단 폐사를 줄이고, 건강한 번식 관리를 통해 농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닭 전용 디바이스는 센서가 내장된 발목 부착형과 집게형 웨어러블 형태다. 닭의 건강상태 모니터링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전염병 관리에 특화된 기술이다.
닭전용 헬스케어는 어떤 기능으로 건강체크를 하는지?
닭들의 개체별 체온, 활동량 등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게 된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는 실시간 통신 기반 DB서버로 전송되며, 전송된 데이터는 유라이크코리아의 핵심 경쟁력인 인공지능(A.I.) 분석을 통해 농장주에게 유용한 개별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조류 헬스케어에 대한 해외 사례가 있는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가금류를 생산하는 중국에 있다. 대형 이커머스 기업 징둥(京東, JD닷컴)은 닭 전용 만보계 밴드를 개발하여 방목형 양계 사육농장에 적용했다. 또한 100만보 이상 걷는 운동성이 높은 닭을 선별하여 농가 생산성을 높이고, 연계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식으로 상용화된 서비스는 아직까지 전무한 상태다.
닭 전용 헬스케어의 시장성과 앞으로 영업은 어떻게 할 예정인지?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2019년 세계 가금류 시장은 2,315억 달러(한화 약 258조)로 그 중 세계 닭 시장 규모는 약 237억 마리다. 실제 한 해 도축되는 닭은 660억 마리 이상이다. 해외 시장에서 기술 검증(PoC)을 거쳐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닭 전용 헬스케어의 등장으로 많은 변화가 예측된다. 해외반응은 어떤지?
닭의 건강상태 모니터링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전염병 관리에 특화된 기술이다. 내년 글로벌로 본격 진출하여 가금류(양계, 육계 등) 시장 대상으로 기술검증(PoC)과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외에서 ICT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가금류 관리에 대한 니즈가 매우 높다. 최초로 개발한 ‘가금류’에 대한 헬스케어 서비스로 시장을 선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