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약제학회,2020년 총회- 국제학술대회 성료
이권구 기자 | kwon9@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 |
(사)한국약제학회(회장 오의철)는 11월 19일~20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Crossroads of pharmaceutical & regulatory sciences toward innovative drug development’를 주제로 2020년 총회 및 국제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공동개최하고 한림원, 한미약품이 후원한 이번 국제학술대회(비대면 온라인)는 온라인 송출 2개 채널을 이용한, 9개 학술 세션과 3개 특별세션 등 총 10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국내 연자 경우 현장 발표와 온라인 송출이 동시에 이뤄졌고, 국외 연자는 사전 녹화 온라인 송출 방식으로 발표가 진행됐으며, 모든 질의응답은 온라인으로 실시간 진행됐다.
학술대회 첫 날, 미국 Iowa 대학 Dale Eric Wurster 교수 기조강연 ‘The Hydrophobic Effect - Why Entropy Is Also Important’과 둘째 날, 전남대학교 이용복 교수 기조강연 ‘Pharmacokinetic Evaluation for Lymphatic Delivery, Risk Assessment, Gender Difference and Genetic Variation’을 비롯해 8개 주제 분야(Biotechnology & Drug Delivery / Biopharmaceutics, Pharmacokinetics & Metabolism / Polymer Science & Materials / Regulatory Science & Policy / Physical Pharmacy & Formulation Design / Drug Design & Development / Pharmaceutical Quality & Analysis / Manufacturing Science & Engineering)에서 국내 뿐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 뉴질랜드 초청연자 총 50명이 약제학 분야 최신 연구에 대해 강연했다.
학술 강연 외에도 차세대 연구자 육성 및 지원을 위해 ‘From good research to a successful business: How to start a pharmaceutical start-up’을 주제로
‘Valuation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Pharmaceutical patents: a brief overview’, ‘Stemore - Total solutuion for hair-loss’, ‘Competencies required to survive and have a successful career as a research scientist in the Pharm industry’ 주제 교육 프로그램이 첫날 오전 마련돼 대학원생을 비롯한 산업계 참가자들의 열띤 호응을 얻었다.
둘째 날 개최된 ‘Young Scientist Session’에는 대학원생 등 젊은 연구자가 참가해 그간 연구성과를 온라인으로 발표했다.
국제학술대회와 함께 열린 총회에서는 편집/학술/재무위원회 보고 및 감사를 선출했다.
또 △학술대상(차의과학대학교 조혜영 교수) △우수논문상(인제대학교 최두형 교수) △산학기술상(계명대학교 이상길 교수) △제제기술상(한미약품 임호택 이사) △혁신기술상(영남대학교 김종오 교수, 부산대학교 김민수 교수) △학술발전상 1(부산대학교 김민수 교수, 영남대학교 김종오 교수, 부산대학교 유진욱 교수) △학술발전상 2(우석대학교 이미경 교수) △생산기술공로상(일동제약 김완수 전무, 제일약품 김정진 상무, 한미약품 박재현 전무이사) △품질관리공로상(종근당 천준희 이사보) △Pharmaceutics Research Award (충남대학교 박정숙 교수) △공로상 (아주대학교 이범진 교수) 시상식도 열렸다.
한국약제학회 오의철 회장(가톨릭 약학대학)은 “한국약제학회는 어려운 국내외 환경속에서도 이번 비대면 온라인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약물 전달 및 개발, 제약, 규제 과학 및 환자 중심의 약물 전달 및 첨단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학계, 제약 산업 및 정부 연구자와 전문가 네트워킹 및 학술적 교류 기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됐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오늘의 헤드라인
댓글 개
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