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템라’ 경피증 관련 간질성 폐질환 적응증 추가
2010년 美 발매 이래 6번째 적응증 FDA 승인받아
이덕규 기자 | abcd@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로슈社는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 ‘악템라’(토실리주맙) 피하주사제가 아직까지 치료대안이 제한적이어서 파괴적인 증상의 하나로 알려진 성인 전신성 경화증 관련 간질성(間質性) 폐 질환(SSc-ILD) 환자들의 폐 기능 감퇴속도를 늦추는 내용의 적응증 추가를 FDA로부터 승인받았다고 5일 공표했다.
생물의약품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의 적응증 추가를 승인받은 것은 ‘악템라’가 처음이다.
이와 관련, 경피증으로도 불리는 전신성 경화증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상이 악화되는 데다 파괴적인 증상을 내보일 수 있는 자가면역성 질환의 일종이지만, 아직까지 완치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계 기능부전으로 인해 피부조직과 폐가 두꺼워지고 경화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세계 각국의 전신성 경화증 환자 수는 250만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는데, 전체 전신성 경화증 환자들 가운데 805 정도에서 간질성(間質性) 폐 질환이 수반되고 있는 형편이다. 간질성 폐질환은 폐 내부에 염증과 반흔이 나타나면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증상을 말한다.
로슈社의 레비 개러웨이 최고 의학책임자 겸 글로벌 제품개발 대표는 “최초로 FDA의 허가를 취득한 생물의약품 치료대안을 전신성 경화증 관련 간질성 폐 질환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은 환영해마지 않을 일”이라면서 “우리는 ‘악템라’가 전신성 경화증 환자들의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FDA가 진행하는 동안 긴밀한 협력을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에 적응증 추가가 승인됨에 따라 이 희귀 쇠약성 질환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절실히 필요로 해 왔던 새로운 치료대안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FDA는 총 212명의 전신성 경화증 환자 또는 건강한 이들을 충원한 후 피험자 무작위 분류, 이중맹검법, 플라시보 대조시험으로 이루어진 1건의 임상 3상 ‘focuSSced 시험’에서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악템라’의 적응증 추가를 승인한 것이다.
이와 함께 임상 2/3상 ‘faSScinate 시험’에서 도출된 참조자료들도 심사가 진행되는 동안 반영됐다.
‘faSScinate 시험’은 전신성 경화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피험자 무작위 분류, 이중맹검법, 플라시보 대조시험으로 이루어진 시험례이다.
‘focuSSced 시험’ 결과를 보면 보정 로드넌 피부지수(mRSS)를 적용해 48주차에 착수시점과 비교평가한 일차적 시험목표가 충족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mRSS는 전신성 경화증 환자들의 피부 섬유증을 평가하는 표준지표의 하나이다.
마찬가지로 ‘faSScinate 시험’에서도 일차적인 시험목표를 적용했을 때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focuSSced 시험’에서 ‘악템라’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환자그룹은 48주차에 착수시점과 비교평가했을 때 노력성 폐활량(FVC)의 감소가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노력성 폐활량은 공기 흡입량과 퍼센트 예측 강제폐활량(ppFVC)을 측정해 폐 기능을 평가하는 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지표이다. 퍼센트 예측 강제폐활량의 경우 같은 연령대, 성별, 인종 및 신장(身長)의 건강한 사람들과 FVC를 비교평가하는 지표이다.
‘focuSSced 시험’에서 참여한 212명의 피험자들 가운데 68명(65%)의 전신성 경화증 환자들은 ‘악템라’를 사용해 치료를 받았고, 같은 수의 환자들이 플라시보 투여그룹에 포함됐다.
이들은 착수시점에서 맹검 상태의 흉부 방사선과 의사들로부터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촬영(HRCT)을 통해 진단을 받았다.
그 결과 ‘악템라’를 사용해 치료받은 전신성 경화증 환자들의 경우 평균 ppFVC 감퇴율이 0.07%에 그쳐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6.4%와 확연한 격차가 눈에 띄었다. 평균 FVC 감퇴도 또한 ‘악템라’ 투여그룹은 -14mL로 나타나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22mL와 현격한 차이를 내보였다.
mRSS 지표를 적용한 가운데 48주차에 착수시점과 비교한 평균 변화도를 보면 ‘악템라’ 투여그룹이 -5.88으로 집계되어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3.77과 차이가 나타났다.
‘focuSSced 시험’과 ‘faSScinate 시험’에서 48주차에 평가한 ‘악템라’ 투여그룹의 안전성 프로필을 보면 지금까지 알려진 ‘악템라’의 안전성 프로필과 대동소이했다.
가장 빈도높게 수반된 ‘악템라’의 부작용은 각종 감염증이 관찰됐다.
한편 ‘악템라’는 ‘신속심사’ 대상 지정을 거친 끝에 지난 2010년 미국시장에 선을 보인 이후로 6번째 적응증을 FDA로부터 승인받았다.





오늘의 헤드라인
댓글 개
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