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겪는 손 떨림…또다른 질병의 '위험신호' 의심
뇌병변, 내과질환 등 다양한 원인…수전증 전문의 진단 받아야
박선혜 기자 | loveloveslee@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신체 일부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규칙적으로 흔들리는 떨림은 우리 몸의 가장 흔한 이상운동 증상으로 주로 손에 많이 나타난다.
손이 떨리는 모든 증상을 의미하는 수전증(手顫症)이 떨림 중에도 유독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은 이로 인해 손으로 할 수 있는 방대한 기능에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본태성 떨림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바 없으나 약 50%의 환자가 가족력을 나타냄에 따라 유전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 증상이 경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치료가 필요치 않은 양성 질환이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 떨림의 정도를 줄이는 대증적 치료를 하게 된다.
이 경우 주로 약물치료가 진행되는데 교감신경에 대한 베타차단제가 주로 사용되며 항경련제, 향정신성 약물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약물요법을 최대한 적용했음에도 심한 떨림이 조절 되지 않을 경우에는 뇌의 시상핵 또는 담창구를 자극하는 뇌심부자극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는 신경외과학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지만 전신마취가 필요한 개두술(開頭術)인 만큼 그 필요성과 위험성을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한다.
이 외에도 약물 부작용이나 갑상선항진증, 저혈당증과 같은 내과적 질환에서도 손떨림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손떨림과 함께 어지러움, 발음장애, 보행이상 등의 다른 증상이 동반되었다면 소뇌 등의 뇌병변에 의한 증상일 수 있으니 이 역시 전문의의 정확한 진찰을 받아야한다.
이어, “수전증은 뇌병변, 내과적 질환 및 약물 부작용 등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합당한 치료를 받을 경우 수전증의 불편에서 상당 부분 벗어날 수 있으므로 지나치게 걱정하지 말고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해 보는 것을 권한다”라고 조언했다.





오늘의 헤드라인
댓글 개
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