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가 최근 리피오돌 사태 등으로 부각된 국가필수의약품의 안정공급의 해결방안으로 '필수의약품 안정공급협의회'를 통한 안정공급 정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신동근 의원(왼쪽)과 박능후 장관 |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10일 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이 같이 답변했다.
신 의원은 "최근 게르베코리아가 약가 인상을 요구하며 공급중단 사태를 일으킨 '리피오돌' 사태를 보면 안정적 수급이 절실하다고 느낀다"며 "정부는 '국가필수의약품 지정'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 하지만, 2016년 12월 102개 품목에서 315개까지 지정 품목이 늘어났으나 46%가 수급불안정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수급불안정은 국내 허가의약품이 전무하거나, 허가를 받았으나 생산/수입실적이 없거나, 전량 수입에만 의존하는 경우 등 다양한 사유로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신동근 의원은 "국가필수의약품의 수급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품목제공위해 연구개발에 힘쓰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은 "필수의약품 안정공급협의회에서도 정책방향 1순위가 의약품 안정공급으로, 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정말 필요한 의약품은 국가에서 직접 만들면 좋겠지만, 찬반양론이 많기 때문에 살펴봐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