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백신에 대해 환자 본인부담이 늘어나는 경우 접종률이 최대 60%p까지 떨어지는 미국 연구가 소개돼 주목된다.
동물약국협회(회장 강병구, 이하 동약협)는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참여한 비교연구(Effectiveness of dog rabies vaccination programmes: comparison of owner-charged and free vaccination campaigns)를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연구에서는 광견병 백신을 정부에서 무료로 접종해주는 경우와 본인부담금이 발생하는 경우를 각각 진행하여 접종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무료로 접종해주는 경우 64~88%의 접종률을 보인 반면 보호자에게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20% 대까지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WHO에서 권장하는 70%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즉, 예방접종에 대한 소비자(동물의보호자)의 부담이 증가하면 예방접종비율은 감소한다는 분석이다.
이는 대한동물약국협회에서 실시한 반려동물보호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어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 내 ±3.1%p)
반려동물보호자의 80% 이상은 동물병원의 예방접종비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응답자의 1/4 이상은 비용부담으로 접종을 아예 포기하거나 도중에 중단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따라서 예방접종을 오직 동물병원에서만 하도록 제한하는 것에 67%는 반대의사를 밝혔고 그렇게 된다면 예방접종 비율을 감소할 것이라고 과반 이상이 응답했다.
농림부는 앞서 반려동물 예방접종 백신을 처방대상품목으로 지정하겠다고 밝혔는데, 동약협이 한국동물약품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견병 백신 및 개종합백신(5종)이 처방대상품목으로 지정된 이후 매출액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동물약품협회 광견병백신 및 개종합백신 처방대상품목 지정 후 매출(출처: 한국동물약국협회) |
동약협은 "백신이 처방대상으로 지정되면 모든 반려동물의 보호자는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무조건 동물병원을 방문해야만 한다"며 "직접 백신을 구입해 투여하는 경우에 비해 부담은 증가하게 되고 접종률은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약협은 "2019년 말을 시작으로 급격히 증가하던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최근 들어 다시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각 나라마다 집단면역(herd immunity)을 형성시키기 위한 백신 접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제했다.
이어 "반려동물의 예방접종 또한 마찬가지로, 코로나19를 비롯해 메르스, 사스 등 동물유래의 바이러스가 사람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일이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예방접종은 지금보다 더욱 확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더 이상 코로나19와 같은 초유의 사태를 반복할 수는 없다. 정부는 반려동물 예방접종을 지금보다 더욱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며 질병발생률과 항생제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을 고집하는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