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 ‘안정성·투명성’ 준비 철저해야”
기술평가 통과해도 승인에 영향…이전보다 주의 기울여야
전세미 기자 | jeonsm@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13일 KPX 빌딩 6층에서 열린 KoNECT-KDDF 글로벌 비즈니스 포럼에서는 한국거래소 상장유치실 주현주 과장<사진>이 ‘바이오기업 코스닥시장 상장 전략’에 대해 강의를 진행했다.
![]() |
올해 코스닥 상장 승인률은 100%였다. 그 이유에 대해 주 과장은 “심사주에 자발적으로 철회하는 회사도 있다. 미승인의 기록이 남는 것보다는 철회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또 상장 트랙도 워낙 다양해져서 떨어질 만한 회사는 잘 들어오지 않는다. 상장 승인 기간은 최대한 승인을 시키기 위해 기다려주는 기간까지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상장을 청구한 이후에 승인까지 대부분 무리는 없었다”고 분석했다.
주 과장은 최근 코스닥 상장 제도 개편에 대해 지난해에는 역동적인 자본시장 구축을 위한 상장 공모 제도를 개편 시행했다면, 올해는 자본시장 혁신을 위한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방안을 시행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작년에 소위 말하는 ‘테슬라 요건’이 신설됐다. 테슬라 요건은 이익미실현 기업에도 상장을 허용하는 요건으로, 시장평가가 높은 기업, 영업기반을 갖춘 기업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기술특례 상장제도도 개선됐는데, 사업모델에 기반한 상장을 허용하고 상장주선인 추천에 의한 상장제도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에는 성장 잠재력을 중심으로 상장 제도를 전면 개편했다. 테슬라 요건을 확대하고, 시총, 자기 자본 등 단독요건을 신설했다. 또 업력, 세전이익, 자본잠식 등 사전 의무의 공통 요건을 폐지했다”고 설명했다.
주 과장은 코스닥 상장에 대한 외형 심사 요건으로 이익미실현 기업은 ‘이익 규모’, 기술성장기업은 ‘기술 평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익미실현 기업은 이익규모가 중요하다. △시총 500억&매출 30억&최근 2사업연도 평균 매출 증가율 20% △시총 300억&매출 100억(벤처 50억) △시총 500억&PBR 2배 △시총 1,000억 △자기 자본 250억이라는 요건 중 한 가지에는 해당돼야 한다. 기술성장기업은 기술평가에서 A등급&BBB등급(복수 평가)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코스닥 상장에 대한 공통적인 질적 심사 요건에 대한 조언도 이뤄졌다.
주 과장은 “영업, 재무 상황, 기술력 및 성장성 등에 비춰봤을 때 기업의 계속성이 인정돼야 하며(기업계속성), 상장 전 증자나 주식 거래, 상장 업무 관련 이해 관계자의 주식 투자 등으로 경영 안정성 및 주주이익이 침해되지 않아야 한다(경영안정성)”고 말했다.
또 “기업지배 구조, 내부 통제 제도, 공시 체제 및 이해 관계자와의 거래 등에 비추어 경영투명성이 인정돼야 하며(경영투명성), 기타 투자자 보호 및 증권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하지 않음이 인정돼야 한다(투자자 보호)”고 강조했다.
이어 “심사를 하다 보면 특히 안정성과 투명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실질적으로 기술이 좋은데 심사를 하다보면 좋지 않은 부분들이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술평가를 통과했는데도 안정성과 투명성의 문제 때문에 상장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외부에서는 기술평가 제도가 사실상 바이오기업을 위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 요즘은 분산되고는 있지만 여전히 바이오기업이 여전히 많다. 그러나 의외로 상장관련 법규를 잘 이해하거나 수용하지 못하는 회사들이 많다. 준비를 잘 마쳐 상장을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오늘의 헤드라인
댓글 개
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