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B제약, 의료진 대상 뇌전증 심포지엄 성료
뇌전증 환자의 현 상황 조명 및 개선 방안 고민
전세미 기자 | jeonsm@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이번 심포지엄은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뇌전증 환자의 현재를 조명해보고, 의사 및 환자의 관점에서 개선 방안을 고민하고, 해외의 사례를 나누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18일 서울에서는 한국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무엇을 이해하고 왜 이해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손영민 교수에 이어, 도호쿠 대학교 뇌전증학과 노부카즈 나가사토(Nobukazu Nakasato) 교수의 뇌전증학과의 사명이라는 강연에서 환자의 어려움을 찾아내고 사회로 복귀시키기 위한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손영민 교수는 뇌전증의 질환적 특성과 환자의 질병 체험 연구 내용을 소개하면서 “뇌전증은 사회적인 낙인, 가족 및 교우관계, 결혼 그리고 운전, 병역 등 삶의 전반적인 문제가 환자에게 고통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는 다시 환자들로 하여금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위축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뒤이어 나가사토 교수는 이제는 사회적 물리적 환경요인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며, 단순히 의학적인 이슈뿐 아니라 환자 개개인은 물론 환경 요인의 개선 등 전방위적인 차원에서의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환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환자들이 뇌전증을 가지고 있는 자신의 삶이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니며, 남들의 이야기가 아닌 자신에게 집중할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며 “뇌전증 역시 고혈압, 당뇨 등과 마찬가지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단순한 질병임을 환자뿐 아니라 사회에 인식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19일 부산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에서는, ‘의사 및 환자의 관점에서 본 뇌전증 환자 삶의 질 향상’이라는 주제로 인제대학교 해운대 백병원 신경과 및 뇌전증센터 이병인 교수의 강의가 마련되었다.
이병인 교수는 “발작 경련, 부작용은 물론이고 우울증, 불안감 그리고 신체적인 합병증은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발작을 조절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하며 우울증과 같은 합병증을 조절해 치료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의료진의 입장에서는 환자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실천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늘의 헤드라인
댓글 개
숨기기